NEWS
업계뉴스
-
한전 송전망 절반 공사 지연, 전력계통 안정성 차질 우려
송고일 : 2025-10-21
안산 대부도의 송전망 / 박명종 기자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전력의 송전망 건설사업이 절반 이상 지연되면서 재생에너지 계통 연계와 안정적 전력 공급에 심각한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1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전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총 54건의 송·변전설비 건설사업 중 55%(30건)가 지연 또는 지연 예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사업 유형별로 살펴보면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총 29건 중 14건(48%)이 지연·지연 예상 상태다. 지연 4건, 지연 예상 10건으로 집계됐다. 변전소·변환소 건설 사업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총 25건 중 16건(64%)이 지연·지연 예상 상태로, 지연 14건, 지연 예상 2건에 달했다. 한전이 제출한 '송전선로 건설계획 대비 지연 현황'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집적지와 발전력 인출에 직접 연관된 주요 송·변전 사업의 준공 목표가 대폭 미뤄진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동해안∼수도권 송전선(500㎸ DC)의 경우 당초 준공 목표는 2019년이었으나 공사가 7∼8년 지연되면서 2026년 말∼2027년 말에야 완공될 전망이다. 새만금·신안 해상풍력 연계선(345kV)도 2031∼2033년에야 준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정부가 목표로 하는 2030년 재생에너지 보급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은 공사 지연 사유로 주민 수용성 부족과 보상 지연, 인허가 및 환경영향평가 절차 장기화, 재생에너지 연계사업 승인 지연, 부지 확보 난항 등을 제시했다. 이들 요인은 단기 해소가 어려운 구조적 문제로, 향후 국가 산업 발전과 전력 계통 안정성에 상당한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박정 의원은 "송전망이 제때 깔리지 않으면 발전소를 세워도 전기를 공급할 수 없다"며 "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은 전력 계통의 안정성과 공공성"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와 한전은 송전망 사업을 국가전략사업으로 격상해 인허가 단축, 공공 참여 확대 등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출처 : 투데이에너지(https://www.todayenergy.kr/)